프로그래밍 언어/[ Java ]

[ Java ] 28. 정적 팩토리 메서드?!

kim.svadoz 2021. 12. 13. 17:18
728x90
반응형

정적 팩토리 메서드


우리가 어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할 때는 보통 생성자를 이용한다. 보통 실제 개발에 가면 public 생성자(혹은 빌더패턴)를 주로 이용해서 사용하는데, 이보다 좀 더 나은 방법이 있어서 포스팅한다.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Product(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new Product("book");
    }
}

위의 예는 생성자를 이용한 매개변수로 객체를 생성하는 모습이다.

 

매개변수 하나일 때는 쉽게 예상이 가겠지만 매개변수가 점점 늘어나고 복잡해지면 하지만 개발자가 생성자의 매개변수만 보고 어떤 객체를 반환할지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객체 생성의 역할을 하는 클래스 메서드이다.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Product (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atic Product nameOf(String name) {
        return new Product(n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nameOf("book");
    }
}

이와 같이 생성자와 별도로 객체를 생성하는 메소드를 정적으로 만들어서 객체 생성을 캡슐화 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Boolean Class의 valueOf()
  • LocalTime Class의 of()
  • enum Class의 valueOf()

와 같은 것들이 바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의 일종이다.

 

이는 미리 생성된 객체를 "조회"하는 메서드이기 때문에 객체를 생성하는 팩토리 역할을 한다고 볼 순 없지만, 외부에서 원하는 객체를 반환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정적팩토리 라고 간주한다고 한다.

이펙티브 자바의 첫 아티클이 바로 "생성자 대신 정적 패토리 메서드를 고려하라"인 점을 고려하면 이 개념은 굉장히 중요한 것이라고 느낌이 올 것이다.

그럼 본격적으로 그 장점을 알아보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로 넘기는 매개변수 만으로는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사용하면, 이름만 잘 짓는다면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한번에 유추할 수 있다.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Product (String name) {
        this.name = name;
    }

    static Product nameOf(String name) {
        return new Product(name);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1 = new Product("book");
        Product p2 = Product.nameOf("pencil");
    }
}

그냥 생성자로 만드는 것보다 의미를 가진 메소드를 이용하면 훨씬 객체 생성의 의미를 파악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 호출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불변 클래스(immutable class)는 인스턴스를 미리 만들어두거나,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를 캐싱해서 재활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줄일 수 있다.

정적 팩터리 메서드와 캐싱구조를 함께 사용하면 매번 새로운 객체를 만들 필요가 없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singleton = null;

    private Singleton() {}

    static Singlenton getInstance() {
        if (singleton == null) {
            singleton = new Singleton();
        }
        return singleton;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ingleton s1 = Singleton.getInstance();
        Singleton s2 = Singleton.getInstance();
        System.out.println(s1 == s2); // true
    }
}

생성자를 private으로 제한해서 새로운 객체 생성을 제한하고 getInstance() 메서드를 static으로 선언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도록 한다.

 

위의 예에서 싱글톤 객체 s1과 s2는 같은 인스턴스이다.

대표적으로 Boolean ClassTRUE, FALSE를 상수로 정의해서 valueOf(boolean) 메서드 사용 시 객체를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수를 반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객체 생성 비용이 큰 객체가 자주 요청이 된다면 성능상에서 이점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스턴스를 통제하는 것은 인스턴스가 단 하나뿐임을 보장하는 것이고, 플라이웨이트 패턴의 근간이 되는 것이다.

플라이웨이트 패턴(Flyweight Pattern)?

데이터를 공유해서 메모리를 절약하는 패턴으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객체는 한 번만 사용되고, Pool에 의해서 관리/사용 되는 디자인패턴이다.

JVM의 String Constant Pool이 바로 그 예이다

 

3. 하위 자료형 객체를 반환할 수 있다.

이는 상속을 활용할 때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렇게 자바의 다형성 특징을 이용하면 인터페이스 자체를 반환하도록 할 수 있어, 하위 클래스(구현체)를 노출하지 않고도 반환할 수 있다.

class Order {
    public static Discount createDiscountProduct(String code) throws Exception {
        if (!isValidCode(code)) {
            throw new Exception("잘못된 할인 코드");
        }
        if (isUsableCoupon(code)) {
            return new Coupon(1000);
        } else if (isUsablePoint(code)) {
            return new Point(500);
        }
        throw new Exception("이미 사용한 코드");
    }
}
class Coupon extends Discount {}
class Point extends Discount {}

이는 GoF 에서 소개하는 팩토리 패턴과 유사하게 객체 생성을 조건에 따라 분기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이는 인터페이스를 정적 팩토리 메서드의 반환 타입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기반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핵심 기술이다.

 

그 예로 자바의 Collection 프레임워크는 핵심 인터페이스들에 수정 불가나 동기화 등의 기능을 덧붙인 45개의 util 구현체를 제공한다.

이 구현체는 java.util.Collections 클래스를 굳이 만들지 않고도 인터페이스 자체에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얻도록 구현해놓은 것이다.

public interface List<E> extends Collection<E> {
    static <E> List<E> of() {
        return (List<E>) ImmutableCollections.ListN.EMPTY_LIST;
    }
}

자바 9의 List 인터페이스의 of() 메서드는 인터페이스를 반환하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이다.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는 반환되는 클래스가 어떤 건지 알 필요 없이 그냥 of() 메서드의 기능이 무엇인지만 알고, List.of()의 형태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자바 8에서부터 인터페이스에 정적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데 그래서 자바 8 이전에는 인터페이스의 유사 클래스를 만들어서 그 안에 정적 메소드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우회해서 사용했다.

public class Collections {
    private Collections() {}
    ...
    public static final List EMPTY_LIST = new EmptyList<>();

    public static final <T> List<T> emptyList() {
        return (List<T>) EMPTY_LIST;
    }
}

 

4. 객체 생성을 캡슐화할 수 있다.

생성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외부에 내부 구현을 드러내야 하는데, 정적 팩토리 메서드 패턴을 사용 하면 내부 구현을 캡슐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DTO와 Entity간의 형변환이 그 예시이다.

@Builder
public class Product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date;

    public static ProductDto from(Product product) {
        return new ProductDto(product.getName(), product.getDate());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repository.getById(id);

        ProductDto productDto = new ProductDto(product.getName(), product.getDate()); // 생성자
        ProductDto productDto = ProductDto.from(product); // 정적 팩토리 메서드
    }
}

이렇 게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사용하면 단순히 생성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좀 더 가독성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객체지향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추가적으로 롬복을 활용하면 좀 더 쉽게 정적 팩터리 메서드 패턴을 만들 수 있다.

@RequiredArgsConstructor(staticName = "of")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final Long id;
 private final String name;
}

 

단점 ?

하지만 상속을 하려면 public 이나 protected 생성자가 필요한 데, 정적 팩토리 메소드만 제공하면 하위 클래스를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위에서 Collections 클래스를 보면 생성자의 접근제어자가 private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클래스는 누군가의 부모 클래스가 될 수 없다.

 

정적 팩토리 메서드가 다른 정적 메서드와 잘 구분되지 않는다는 특징 때문에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한 네이밍 컨벤션이 존재한다.

  • from : 하나의 매개 변수를 받아서 객체를 생성
  • of : 여러개의 매개 변수를 받아서 객체를 생성
  • getInstance | instance : 인스턴스를 생성. 이전에 반환했던 것과 같을 수 있다.
  • newInstance | create :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
  • get[OrderType] : 다른 타입의 인스턴스를 생성. 이전에 반환했던 것과 같을 수 있다.
  • new[OrderType] : 다른 타입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

 

정적 팩터리 메서드와, public 생성자는 각각 장단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대부분 정적 팩토리를 사용하는 게 유리한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무작정 public 생성자를 만드는 것보다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우선 고려해보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