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Kernel Scheduling (커널 스케쥴링)
리눅스에서는 어떤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일까? 물론 priority(우선순위)가 가장 큰 프로세스가 실행될 것이다. 하지만 time slice를 가지고 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에 대한 설명은 아래 그림을 보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위쪽 네모박스 안의 내용을 살펴보자. CPU가 어떤 프로세스에게 할당될 때는 일종의 시간제한이 있게 된다. 위 예시에서는 100ms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마저도 못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프로세스보다도 더 급한 작업이 요구되었을 때, CPU를 또다시 빼앗길 수 있다.
위 네모박스 안에서는 20ms를 사용하다가 CPU를 뺏겨버렸고 남은 80ms는 추후에 다시 CPU를 받았을 때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남은 80ms를 remaining timeslice라고 한다.
즉, 리눅스에서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가 높아야 하고 남은 타임슬라이스가 0보다 커야 한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스케쥴링이 정확하게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먼저 맨 위의 레디큐(Ready Queue)를 살펴보자. 레디큐에는 PCB가 여러개 들어 있다. 바로 실행(run)할 수 있는 작업들이 쭈욱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의 문제점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되서 CPU의 갯수가 증가하게 되면 연결된 머신의 수에 따라 레디큐에 연결되는 PCB도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질 것이라는 데 있다. 500개의 프로세스가 돌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context_switch()
를 실행할 때마다 이 500개에 해당하는 레디큐의 내용을 전부 뒤져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골라내야 하는데, 탐색 작업이 상당히 비효율적(시간이 오래걸림)이라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이번에는 위 그림의 중간에 있는 구조(큐를 두 개로 나눈 구조)로 설계를 해 보았다. 하나의 레디큐로 두는 것은 탐색하는데 비효율적이라고 생각으로부터 나온 설계다. 높은 우선순위와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두 개의 큐를 제작했다. 하나의 큐 보다는 확실히 효율적이겠지만, 이마저도 만족스럽지 않기에 위 그림의 맨 아래와 같은 설계(여러 개의 큐를 두는 구조)를 해봤다. 좀 더 분류를 세분화해서 여러 개의 큐를 만들었다. 각 큐는 PCB
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주황색으로 구현된 큐를 보니 중간 중간 비어 있는 큐(2번과 4번 큐)도 보인다. 이러한 큐까지 탐색할 필요는 없으니 좀 더 효율적으로 탐색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해당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큐가 비었는지 안 비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비트 배열을하나 더 두게 된다.
위 그림의 좌측에는 바이너리 배열이 하나 있는데, 0은 해당 인덱스의 포인터를 따라가면 해당 인덱스의 큐가 비어 있다는 뜻이고 1이라면 해당 인덱스의 큐에 내용물이 있다는 뜻이다. 유닉스에서는 이 바이너리 배열을 비트맵이라 부른다.
이렇게 비트로된 배열을 사용함으로써 탐색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비트맵의 인덱스가 얼마나 존재하는지가 시스템에서 다루는 난이도가 얼마나 세분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132개의 인덱스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우선순위가 132개로 나뉘어진다는 뜻이다. 우측에는 큐로 이루어진 배열이 그 구현체다. 해당 큐의 각 내용물은 PCB로 이루어져 있다.
위 그림의 맨 밑을 보면 구조체가 하나 존재한다. 그 구조체 안에는 비트맵과 큐 배열이 존재한다.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CPU가 10개 있다고 한다면, 이 구조체가 각 CPU마다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비트맵과 큐 배열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구조체가 바로 priority array (우선순위 배열)이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CPU 스케쥴러가 context_switch()
가 일어날 때마다, 레디큐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를 뽑아야 하는데 이때 해야 할 작업은 비트맵을 스캔하고 0이 아닌 항목이 있다면, 해당 난이도의 큐를 찾아내서 큐의 작업내역을 순회하며 실행하는 것이다. 0이 아닌 비트맵이 있다면 포인터를 따라가서 해당 큐의 작업 내역을 실행하면 된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레디 큐라는 것은 ready to run a cpu를 의미한다. 즉 바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들을 모아둔 큐이다. 하지만 만약 레디 큐에 있던 프로세스가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라이스를 다 썼다면어떻게 해야할까? 타임 슬라이스를 다 사용한 프로세스는 위의 그림에서 나타난노란색 영역(Expired array)으로 빠지게 된다. 다음 타임 슬라이스를 배정받기 전까지는 레디 큐에 있을 자격이 없기 때문에 Expired array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 두개의 array는 각 CPU마다 존재한다.
좀 더 정확하게 설명을 하자면, Active 영역에 있는 작업들이 모두 처리된 후 Expired 영역으로 가게 된 프로세스들은 일률적으로 (한 번에) 타임 슬라이스를 배정받게 된다. 그 뒤 Expired 영역이 Active 영역으로, 기존의 Active 영역은 Expired 영역으로 변환(interchange)된다. 이 변환 과정은 단순히 서로가 가리키는 포인터가 바뀌는 작업을 의미하는데 구현 코드는 아래 그림의 맨 아래 네모박스에 나와있다.
'임베디드 > [ Linux Kernel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Kernel ] 16. 타이머와 시간관리 (0) | 2020.08.16 |
---|---|
[ Linux Kernel ] 15. Kernel Preemption (0) | 2020.08.16 |
[ Linux Kernel ] 13. Process State (0) | 2020.08.15 |
[ Linux Kernel ] 12. Kernel Thread(커널 스레드) (0) | 2020.08.15 |
[ Linux Kernel ] 11. Process Copy (0) | 202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