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C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강한 연결 요소
방향 그래프에서 임의의 두 정점 u
, v
가 있을 때 u
-> v
로 가는 경로가 존재 한다면 그 그룹이 바로 SCC
입니다.
이 때, u
-> v
로 가는 경로는 직/간접적인 경로를 의미합니다.
즉, SCC
는 집합 내 정점들이 서로 왕복 가능한 최대 크기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SCC의 특징
같은 SCC내에서 뽑은 임의의
u
,v
점에서u
->v
혹은v
->u
의 경로는 항상 존재한다.서로 다른 SCC에서 뽑은 임의의
u
,v
점에서u
->v
혹은v
->u
의 경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SCC
끼리는 사이클이 존재 하지 않는다!SCC는 Maximal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SCC가 형성 된다면 항상 형성될 수 있는 가장 큰 집합으로 형성이 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SCC
인 {c, d, h}
의 하위 집합 중 {c, d}
역시 첫 번째 성질은 만족하지만, 여기에 정점 h
를 더 추가해도 여전히 성질이 만족되므로 h
는 반드시 추가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유향 그래프(DG) 가 주어지면 파티션을 분할하여 각각이 SCC
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며, 선형 시간, 즉 O(N) 안에 모든 SCC
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싸이클을 이루는 정점들 사이에서도 서로 항상 도달이 가능하다는 존재 덕분에, SCC
는 싸이클보다도 더 상위으, 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a, b, e}
나 {f, g}
만 본다면 단순 싸이클이지만, {c, d, h}
쪽은 그렇지 않은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또, 이것이 무향 그래프 였다면 컴포넌트 자체가 SCC
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유향 그래프에만 이 용어가 유의미 합니다.
그러면 방향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어떤 정점들이 서로 SCC
를 이루는 지 분류 할 수 있는 두 가지 알고리즘을 소개하갰습니다. 이 알고리즘 모두 DFS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코사라주 알고리즘
먼저 코사라주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 방향 그래프
- 역방향 그래프
- 스택
이렇게 세 가지 컨테이너를 준비한 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 모든 정점에 대해 정방향 그래프를 DFS를 수행하며 끝나는 순서대로 스택에 삽입합니다.
-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점부터 다시 DFS를 수행한다.
- 이로써 모든 정점을 방문하며 DFS를 완료하여, 스택에 모든 정점을 담는다
- 스택의 top에서 부터
pop()
을 진행하며 순서대로 역방향 그래프에서 DFS를 수행하며 한번 수행에 탐색되는 모든 정점들을 같은 SCC로 묶습니다.- 이 과정은 스택이 빌 때까지 진행합니다.
- 만약 스택의 top에 위치한 정점이 이미 방문했다면
pop()
만 합니다.
- BOJ[2150] :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그러면 SCC
의 가장 기초적인 문제인 백준의 2150번을 풀어보겠습니다.
방향 그래프와 역방향 그래프를 생성합니다.
그 후 방향 그래프에 대해 dfs를 수행하면서 종료되는 점부터 스택에 해당 정점을 push 합니다.
그리고 스택에서 하나씩 pop하면서 역방향 그래프의 dfs를 수행하고 여기서 pop한 요소와 만나는 정점들은 모두 SCC를 형성하는 그룹이 됩니다.
역방향 그래프에 대해서 dfs를 수행하 ㄹ때는 결과값을 담아야 하고
출력 시에는 SCC 그룹 내 요소가 오름차순을 유지하기 위해서 Collections.sort()
를 이용하였고, SCC 그룹의 첫번째 요소가 작은 순서대로 출력하기 위해 TreeMap
을 사용합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List<List<Integer>> graph;
static List<List<Integer>> rgraph;
static List<List<Integer>> res;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Stack<Integer> stack;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 = new ArrayList<>();
rgraph = new ArrayList<>();
res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V; i++) {
graph.add(new ArrayList<>());
rgraph.add(new ArrayList<>());
res.add(new ArrayList<>());
}
// 단방향 인접리스트 구현 (방향 , 역방향 그래프)
for (int i = 0; i < E;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get(u).add(v);
rgraph.get(v).add(u);
}
visited = new boolean[V + 1];
stack = new Stack<>();
// 방향 그래프에 대해 dfs 수행
for (int i = 1; i <= V; i++) {
if (!visited[i]) {
dfs(i);
}
}
Arrays.fill(visited, false);
int groupNum = 0;
// 역방향 그래프에 대해 dfs 수행
while (!stack.isEmpty()) {
int start = stack.pop();
// 스택에서 하나씩 꺼내면서!
// 이 때 방문 체크가 된 것은 start가 하나의 SCC그룹에 속해있다는 뜻!
if (visited[start]) {
continue;
}
// 같은 그룹끼리(groupNum으로 분류) SCC를 분류한다.
redfs(start, groupNum);
groupNum++;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 SCC 그룹 개수
sb.append(groupNum + "\n");
// key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기 위한 TreeMap 선언
TreeMap<Integer, Integer> tm = new TreeMap<>();
for (int i = 0; i < groupNum; i++) {
// 각각의 SCC 그룹에 대해 오름차순 정렬한다.
Collections.sort(res.get(i));
// key : SCC그룹의 첫째 항
// value : index
tm.put(res.get(i).get(0), i);
}
// map의 value를 이용하여 첫번째 항이 작은 순서대로 출력 (오름차순)
tm.keySet().forEach(key -> {
int value = tm.get(key);
for (int now : res.get(value)) {
sb.append(now + " ");
}
sb.append("-1\n"); // 문제조건에 따라 끝에 -1 붙이기
});
bw.write(sb.toString());
bw.flush();
bw.close();
}
// 끝나는 점에 대해서 stack에 push
static void dfs(int start) {
visited[start] = true;
for (int cur : graph.get(start)) {
if (!visited[cur]) {
dfs(cur);
}
}
stack.push(start);
}
// 같은 SCC 그룹은 groupNum으로 분류한다.
// 결과값을 담는 res 코드가 추가된다.
static void redfs(int start, int groupNum) {
visited[start] = true;
res.get(groupNum).add(start);
for (int cur : rgraph.get(start)) {
if (!visited[cur]) {
redfs(cur, groupNum);
}
}
}
}
타잔 알고리즘
타잔 알고리즘은 DFS를 수행할 때 생성되는 DFS 트리의 간선의 정보를 이용해서 ALL DFS 한번으로 모든 SCC
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ALL DFS란 모든 정점에서 수행되는 DFS를 의미합니다.
- ALL DFS를 돌리며 Spaning Tree를 만들어 갈 때 DFS의 호출 순서에 따라 정점을 stack에 push합니다.
- 간선 분류를 통해 먼저 호출 되는 정점이 더 높은 위치를 가진다고 생각할 때 가장 높이 올라갈 수 있는 정점을 찾습니다.
- 이 때
here
->there
이 교차간선이지만there
이 아직SCC
에 속하지 않는다면 discover[there]을 고려해줍니다. - DFS가 끝나기 전에 ret과 discover[
here
]가 같다면 stack에서 pop하면서here
가 나올 때까지 같은SCC
로 분류합니다.
타잔 알고리즘은 위상정렬을 이용한 방법으로 생성되는 SCC
들은 위상정렬의 역순으로 생성된다
타잔 알고리즘을 말로 설명하는 것은 힘든 부분이 있기 때문에,
혹은
이곳을 참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알아본 2150
번 문제를 타잔알고리즘으로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p2150_ver2 {
static List<List<Integer>> graph;
static List<List<Integer>> res;
static int cnt = 0, groupNum = 0;
static int[] dfsn, sn;
static boolean[] finished; // SCC가 확정된 정점 판별
static Stack<Integer> stack;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fsn = new int[V + 1];
sn = new int[V + 1];
graph = new ArrayList<>();
res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V; i++) {
graph.add(new ArrayList<>());
res.add(new ArrayList<>());
}
// 단방향 인접리스트 구현 (방향 , 역방향 그래프)
for (int i = 0; i < E;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get(u).add(v);
}
finished = new boolean[V + 1];
stack = new Stack<>();
// 방향 그래프에 대해 dfs 수행
for (int i = 1; i <= V; i++) {
if (dfsn[i] == 0) {
dfs(i);
}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 SCC 그룹 개수
sb.append(groupNum + "\n");
// key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기 위한 TreeMap 선언
TreeMap<Integer, Integer> tm = new TreeMap<>();
for (int i = 0; i < groupNum; i++) {
// 각각의 SCC 그룹에 대해 오름차순 정렬한다.
Collections.sort(res.get(i));
// key : SCC그룹의 첫째 항
// value : index
tm.put(res.get(i).get(0), i);
}
// map의 value를 이용하여 첫번째 항이 작은 순서대로 출력 (오름차순)
tm.keySet().forEach(key -> {
int value = tm.get(key);
for (int now : res.get(value)) {
sb.append(now + " ");
}
sb.append("-1\n"); // 문제조건에 따라 끝에 -1 붙이기
});
bw.write(sb.toString());
bw.flush();
bw.close();
}
// 각 정점에 대해 dfs 수행
static int dfs(int start) {
dfsn[start] = ++cnt; // 노드 마다 고유한 SCC 번호를 할당한다.
stack.push(start); // 스택에 자기 자신을 삽입
// 자신의 dfs, 자식들의 결과나 dfsn 중 가장 작은 번호를 result에 저장
int parent = dfsn[start];
for (int next : graph.get(start)) {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이웃에 대하여
if (dfsn[next] == 0) {
parent = Math.min(parent, dfs(next));
}
// 방문은 했으나, 아직 SCC로 추출되지 않은 이웃
else if (!finished[next]) {
parent = Math.min(parent, dfsn[next]);
}
}
// 부모노드가 자기 자신일 경우
// 자신과 자신의 자손들이 도달 가능한 제일 높은 정점이 자신일 경우 SCC 추출
if (parent == dfsn[start]) {
while (true) {
int t = stack.pop();
finished[t] = true;
sn[t] = groupNum;
res.get(groupNum).add(t);
if (t == start) break;
}
groupNum++;
}
// 자신의 부모값을 반환
return parent;
}
}
이러한 SCC(강한 연결요소)
는 그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고, 위상정렬과 함께 생각해보았을 때 큰 의미가 있습니다. 모든 SCC
를 각 정점으로 고려했을 때 각 SCC를 위상 정렬할 수 있음을 인지합시다.
SCC 관련 추천 문제
2150번: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위에서 설명한 문제입니다. SCC 기본 문제죠.
10265번 : MT
동기들을 SCC로 분류하면됩니다.
6543번: The Bottom of a Graph
outdegree가 0인 SCC에 속하는 정점들만 출력하면 됩니다.
4196번: 도미노
3977번: 축구 전술
이번엔 indegree가 0인 SCC가 단 1개만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confunsed입니다.
답이 존재한다면, 그 SCC에 포함된 원소들을 출력해주면 됩니다.
2152번: 여행 계획 세우기
ATM 문제와 비슷한데, 이번엔 도착점이 단 하나이고, 각 정점에 서로 다른 값이 있지 않고 다 1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같은 SCC에 속한 도시들이 있으면 그 중 하나만 방문해도 나머지를 다 방문할 수 있죠.
따라서 각 SCC의 값을 정점 개수로 두고, SCC 단위로 위상 정렬하여 시작점을 포함한 SCC로부터 방문해올 수 있는 최대 마을 개수를 SCC마다 구하는 식으로 문제를 풉니다.
4013번: ATM
위에서 설명한 문제입니다.
11097번: 도시 계획 (★)
일단 도시들을 갖고 SCC를 뽑은 뒤, 각 SCC마다 제일 큰 단순 싸이클의 경로 하나만 출력하고,
서로 다른 SCC U, V에 대해 U에서 V로 가는 경로를 하나만 출력해주면 됩니다.
원래의 간선 정보는 잃어버렸고, 리스트에 쓰인 건 도달가능성 뿐이므로 원래 있던 간선인지 아닌지는 아무 상관이 없죠.
1108번: 검색 엔진 (★)
링크를 간선으로 나타내고 각 사이트를 SCC 단위로 묶습니다.
그리고 압축, 위상 정렬 후... 이번엔 SCC 단위로 방문하는 게 아니라, SCC 방문 순서는 위상 정렬 순서대로 하되, SCC 대신 SCC를 이루는 모든 정점을 한번씩 방문해야 합니다.
처음엔 모든 사이트의 점수를 1점으로 놓고 시작합니다. 그리고 방문하면서 자신의 점수를 next 정점에 더하는데, 안 더하는 조건이 자신과 next가 같은 SCC 안에 있을 때입니다.
답이 int 범위를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6264번: Sub-dictionary (★)
이 문제는 지금까지와는 좀 다릅니다. 단어 u를 익히는 데 단어 v의 뜻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간선 (u, v)를 모아서 그래프를 모델링하면,
이번엔 단어 u만 알면 같은 SCC의 단어를 다 알 수 있는 게 아니고, 단어 u를 알려면 같은 SCC 안의 나머지 단어를 다 알아야 합니다.
이번에도 단어 단위로 익혔는지를 체크하는 bool 배열을 만들고, 이게 다 true가 되도록 각 단어들을 SCC DAG에서 위상 정렬 순으로 방문해야 합니다.
일단 indegree가 0인 SCC들은 어쩔 수 없이 포함된 단어를 모두 가르쳐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SCC의 단어들의 경우, 어떤 단어를 배우는 데 학습했어야 하는 단어들을 모두 익혔다면 그 단어는 익힐 필요가 없고, 아니면 그 단어도 익혀야 하고...
이런 식으로 처리해줘야 할 것이 상당히 까다로운 편입니다.
'알고리즘 > [ 개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개념 ] 55. Kadane Algorithm (0) | 2021.05.11 |
---|---|
[ 개념 ] 54. LCA(Lowest Common Ancestor) (0) | 2021.05.05 |
[ 개념 ] 53. 비트마스킹(bit mask) (0) | 2021.04.09 |
[ 개념 ] 52. Prefix Sum(누적 합, 구간 합) (0) | 2021.04.06 |
[ 개념 ] 51.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0) |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