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Baekjoon ]

[ BOJ ][JAVA][14675] 단절점과 단절선

kim.svadoz 2021. 5. 28. 18:09
728x90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4675

 

14675번: 단절점과 단절선

프로그램의 입력은 표준 입력으로 받는다. 입력의 첫 줄에는 트리의 정점 개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0,000) 트리의 정점은 1번부터 n번까지 존재한다. 다음 줄부터 N-1개의 줄에 걸쳐 간선의 정

www.acmicpc.net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512 MB 976 508 407 55.000%

문제

그래프 이론에서 단절점(cut vertex)과 단절선(bridge)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단절점(cut vertex) : 해당 정점을 제거하였을 때, 그 정점이 포함된 그래프가 2개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이 정점을 단절점이라 한다.
  • 단절선(bridge) : 해당 간선을 제거하였을 때, 그 간선이 포함된 그래프가 2개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이 정점을 단절선이라 한다.

이 단절점과 단절선을 우리는 트리(tree)에서 구하려고 한다. 그래프 이론에서 트리(tree)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트리(tree) :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정점이 연결되어 있는 그래프

트리의 정보와 질의가 주어질 때, 질의에 대한 답을 하시오.

입력

프로그램의 입력은 표준 입력으로 받는다. 입력의 첫 줄에는 트리의 정점 개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0,000) 트리의 정점은 1번부터 n번까지 존재한다. 다음 줄부터 N-1개의 줄에 걸쳐 간선의 정보 a, b가 주어진다. 이는 a정점과 b정점이 연결되어 있다는 뜻이며,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보는 트리임이 보장된다. (1 ≤ a, b ≤ N)

다음 줄에는 질의의 개수 q가 주어진다. (1 ≤ q ≤ 100,000) 다음 q줄에는 질의 t k가 주어진다. (1 ≤ t ≤ 2) t가 1일 때는 k번 정점이 단절점인지에 대한 질의, t가 2일 때는 입력에서 주어지는 k번째 간선이 단절선인지에 대한 질의이다. t가 1일 때는 (1 ≤ k ≤ n)이며, t가 2일 때는 (1 ≤ k ≤ n - 1)이다.

출력

프로그램의 출력은 표준 출력으로 한다. q줄에 대하여 해당 질의에 대한 답을 한다. 각각은 개행으로 구분하며, 질의가 맞다면 ‘yes’를, 질의가 틀리면 ‘no’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 2
2 3
3 4
4 5
4
1 1
1 2
2 1
2 2

예제 출력 1

no
yes
yes
yes

코드

/*
    단절점과 단절선
    그래프

    모든 간선은 달전선이다.
*/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p14975 {
    static class Edge {
        int u, v;
        public Edge(int u, int v) {
            this.u = u;
            this.v = v;
        }
    }
    static int n, q;
    static List<List<Integer>> tree;
    static Edge[] edge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tree = new ArrayList<>();
        edges = new Edge[n];
        for (int i = 0; i <= n; i++) {
            tree.add(new ArrayList<>());
        }


        for (int i = 1;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tree.get(u).add(v);
            tree.get(v).add(u);
            edges[i] = new Edge(u, v);
        }

        q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while (q-- > 0)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boolean ret;
            if (t == 1) {
                ret = isCutVertex(k);
            } else {
                ret = true;
            }

            sb.append(ret ? "yes" : "no").append("\n");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static boolean isCutVertex(int num) {
        int size = tree.get(num).size();
        return size > 1 ? true : false;
    }
}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 [ Baekjoon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J ][JAVA][11085] 군사 이동  (0) 2021.05.31
[ BOJ ][JAVA][10423] 전기가 부족해  (0) 2021.05.30
[ BOJ ][JAVA][10159] 저울  (0) 2021.05.28
[ BOJ ][JAVA][8980] 택배  (0) 2021.05.28
[ BOJ ][JAVA][2458] 키순서  (0) 2021.05.28